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슐린 저항성 자가진단 테스트와 질병유발에 관하여
    카테고리 없음 2022. 7. 12. 23:55

    인슐린 저항성은 대사증후군을 비롯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을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인슐린 저항성을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는 자가진단 질문들과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인슐린 저항성 자가진단 테스트

    아래 문항들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1. 복부 지방이 많다.

    2.혈압이 높다.

    3.심장병을 가지고 있는 가족이 있다.

    4.몸이 잘 붓는다.

    5.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다.

    6.인슐린 저항성 혹은 제2형 당뇨병 가족력이 있다.

    7.목, 겨드랑이 또는 기타 부위에 피부 착색이나 쥐젖이 있다.

    8.남성의 경우 발기부전, 여성의 경우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있다.

    위 문항에 2개 이상의 문항에 해당한다면 인슐린 저항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슐린이란?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알아보기 전 인슐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인슐린은 인체 거의 모든 세포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으로서, 세포가 작은 물질을 큰 물질로 만들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간에서 지방을 합성하게 하고, 포도당을 지방으로 전환하고 저장하며, 근육의 단백질을 합성하는 대사 촉진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고탄수화물을 과식하게 되면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 이로 인해 인슐린 분비량이 많아져 인슐린 저항성의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사람들은 고혈당 증상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고인슐린에 상황에는 크게 개이치 않아 합니다.중요한 것은 인슐린인데 말이죠. 인슐린 저항성이 있더라도 혈당은 정상인 당뇨 전 단계의 상태는 정상인 상태라고 인식하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병을 키우게 됩니다. 

    혈당 검사는 간단한 체혈로도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게 검사후 진단하는 반면, 인슐린 저항성에 관한 검사는 비용도 높을 뿐더러 검사방법이 까다롭기에 진단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에 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 진다면 인슐린관련 질환에 대한 선제적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으로 생길 수 있는 질병

    인슐린 저항성 상태에서는 혈중 인슐린 수치는 높게 유지되지만 인슐린이 세포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높은 인슐린상태 혹은 낮은 상태의 인슐린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혈압과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인슐린 저항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혈압환자 또한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혈압을 높이는 이유는 인슐린이 체내 소변에 있는 나트륨을 다시 재흡수 시켜 수분을 늘리게 하는 호르몬을 자극해 혈압을 높입니다. 탄수화물의 과잉섭취는 인슐린을 높혀 혈압을 올립니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은 혈관 벽을 두껍게 만듭니다. 인슐린은 혈관을 구성하는 가장 안쪽에 있는 내피 세포를 더 두껍게 만들며 혈관을 좁힙니다. 마지막으로 인슐린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게 됩니다.

    인슐린과다로 인해 지방의 저장활동이 왕성해지면 염증성 인자들이 동맥에 플라그 형성을 높히며 동맥 경화증과 같은 심혈관 지발도 유발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질병으로는 피부질환, 뇌신경 질환 등 여러가지 형태로 우리 몸에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하면 비만 혹은 당뇨병과 같은 이미지만 떠올랐었는데 우리몸에 곳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호르몬인 만큼 더욱 주의를 기울여 관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질병에 대해서는 다음에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